티스토리 뷰
매월 납입해야 하는 보험료가 부담된다면, 상품 해지 전 우선 불필요한 특약을 축소·해지하거나 감액완납 제도를 고민해 보는 편이 좋습니다. 보험을 해지하는 경우 해지환급금이 터무니없이 적을 뿐 아니라 보험 재가입 시 면책기간 동안에는 제대로 된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험 속 정리 필수 특약들
① 특약에 '특정'이라는 문구가 있다면, 바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수술비 특약은 어떤 수술을 하더라도 수술비가 지급되는 반면, 특정 질병 수술비 특약의 경우 해당 질병에 걸려야지만 수술비가 지급되는 등 보장의 범위가 매우 협소하기 때문입니다.
② 숫자가 명시된 특약은 꼼꼼히 다시 확인해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7대 질병 수술비 특약은 명시된 7대 질병 외에는 보장을 하지 않겠다는 특약으로, 특정 특약과 마찬가지로 보장 범위가 매우 작기 때문입니다.
③ 식중독이나 충수염 등 굉장히 발생률이 높은 질병을 보장해 주는 특약도 해지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을 보장해 준다는 것은 보험사 입장에서는 지급해야 하는 보험료가 높아지기 때문에 결국 가입자는 많이 내고 조금 받게 될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같습니다.
④ 성별이 구분된 특약도 OUT!! 보통 여성 특정암은 위, 방광, 난소를, 남성 특정 암은 위, 폐, 간 등을 말하는 데, 성별이 구분된 특약은 이외 질병은 보장 혜택이 없거나 낮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성별 구분 특약도 특정이 붙은 특약과 성격이 비슷한 특약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⑤ 질병후유장해 보장 특약도 삭제 고려!! 질병후유장애 보장은 특약 자체로 보면 괜찮은 특약이지만, 해당 특약은 대부분 80세 만기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사실 질병후유장해 발생 확률은 70~80% 이상이 80세를 넘어서 발생합니다. 100세 만기로 가입도 가능은 하지만, 이 경우 보험료가 11배 상승할 수 있습니다.(보험료 ↑, 보장 효율 ↓)
보험 특약 해지 방법
보험 특약은 크게 3가지 방법으로 해지가 가능합니다. ① 설계사를 통해 해지할 수도 있고, ② 콜센터 ③ 지점을 방문해 해지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콜센터를 통한 보험 특약 해지는 보험사에 따라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곳도 있기 때문에 전화 상담을 통해 확인해 봐야 합니다.
지점은 네이버나 구글, 다음 등 주요 포털에서도 '내가 사는 지역+보험사' 키워드 검색을 통해 Search가 가능합니다. 지점을 방문하기 전 미리 계약 변경이 가능한 지점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으며, 신분증을 필히 지참해야 합니다.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를 경우 필요 서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점도 미리 챙겨야 합니다.